동종요법의 허구

기본카테고리 2006. 10. 19. 08:47

동종요법은 독일의 라이프치히에서 의학을 공부한 하네만 (Samuel Hahnemann, 1755-1843)이 그 당시의 치료법에 반대하여 만들어 낸 것입니다. 그 당시 치료법은 아직도 고대의 의학 체계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그리스의 엠페도클레스가 만물은 물, 불, 흙, 공기의 4원소로 되어 있고 이 4원소는 변하지 않고 다만 물질의 조성의 차이만 있을 뿐이라고 말했습니다. 이것을 아리스토텔레스가 받아들였을 때는 4개 원소가 서로 변환이 가능하다고도 했지만 중요한 것은 4개 원소가 서로
변할 수 있는가 아닌가는 아니고 다만 이 4원소설은 고대 의학의 기본이 된다는 것입니다. 히포크라테스는 이 4원소설에 기초한 체액설 (humoural theory)을 받아들였습니다. 체액설에 따르면 만물이 4개의 원소 (물, 불, 흙, 공기)로 이루어 졌듯이 4가지의 체액 (혈액, 점액, 황담즙, 흑담즙)을 갖고 있으며 이들이 신체의 성질(wet, hot, cold, dry)을 결정하게 된다고 합니다. 체액들이 서로 적당한 비례를 이룰 때 사람은 건강하며 이 가운데 어느 하나가 많거나 모자르면 이상행동, 병, 죽음이 오게 되므로 의사의 임무는 네 체액의 적절한 균형을 회복, 유지하는 것이었습니다. 자연은 체액들의 정상적인 비율을 회복하게 하는 경향이 있으나 의사는 하제, 찜질, 보리차, 포도주, 방혈, 사혈 등을 써서 이를 돕는다고 생각했습니다. 사실 이러한 방법은 현대의 기준으로 본다면
해가 되는 경우가 더 많았다고 봅니다.

이런 방법이 병 치료를 떠나 해악이 심했던 문제점을 심각하게 생각해 오던 하네만은 1796년 우연히 말라리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증명된 키나피를 과량 복용했습니다. 이때 말라리아 증세와 유사한 경련을 경험한 그는 이와 같이 정상인에게 어떤 물질을 과량 투여하여 나타나는 증상을 가진 병에, 그 물질을 소량 사용하여 치료할 수 있으리라는 원

리에 착안하였다. 그는 실제 90개 정도의 약을 자원자에게 실험하여 확신을 갖고 아이디어를 체계화하여 1810년 "합리적 의학의 원칙"을 출간하였습니다.

하네만은 질병이란 스스로 치유되는 인체의 능력에 교란이 생겨 발생하는 것이므로 약간의 자극을 가하여 치유과정을 유도하면 병을 고칠 수 있으며 이
역할을 하는 것이 질병의 증상을 유도하는 약제의 소량 투여라고 이론화 하였습니다. 그는 이와 같은 유사의 법칙 "Law of Similia'에 기초한 자신의 의학체계에 동종요법이라는 용어를 붙였는데 그는 이와 반대로 이전의 체액의 균형을 회복시켜 주는 원리를 이종요법(allopathy)이라고 명명했습니다.

동종요법의 치료의 이론은 1)모든 병은 psora라는 불리는 infectious disorder에 의하여 생긴다. 2)생명체는 신체의 치료를 하는 생명력을 가지고 있다. 3)치료는 과량으로 투여시 나타나는 증상에 의해서 인식하게 될 수 있다 4) 치료가 효과적이려면 희석을 될 수 있으면
많이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동종요법에 사용되는 물질들은 대부분 성분이 얼마나 들어있는지 확인할 만한 내용이 없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대부분의 동종요법에 사용되는 물질들이 희석을 많이 하기 때문에 별다른 피해가 없지만 일부분은 해로운 경우도 있습니다. 동종요법에 사용되는 약들이 완전히 위약효과만을 나타내는 것이 아닌 것은 그 물질들이 어떤 경우에는 효과를 나타내는 농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동종요법은 단순한 그리고 확인되지 않은 아이디어에서 객관화시킨 것인데 이것이 가능했던 것은 서양의 오랜 주술 전통이기 때문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프레이져의 "황금가지"에서 프레이져는 주술에서 특히 공감주술을 동종주술과 감염주술로 나누어서 설명하는데 동종 주술이 바로 동종요법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을 아시게 될 것입니다. 주술은 두가지 사고의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바로 하나가 유사는 유사를 낫는다라는 원칙으로 이것은 동종요법에서 그대로 사용되는데 이 말은 다시 말해서 결과는 그것의 원인을 닮는다라는 말로도 옮겨집니다. 이것을 프레이져는 유사법칙 (Law of Similarity)라고 하고 둘째는 '한번 접촉한 것은 실제로 그 접촉이 떨어진 후에도 계속 작용하게 된다"라는 것입니다. 이것은 감염법칙(Law of Contagion)이라고 부릅니다. 불행히도 동종요법은
이것까지 포함하는 느낌이 듭니다. 바로 극미량의 법칙이라는 것입니다.

유사가 유사를 낳는다는 가장 보편적인 작용은 아마 적의 상이 괴로워하면 그 상의 당사자도 괴롭게 하고, 그 상이 파괴되면 그도 죽는다는 신앙에서 적의 상을 해치거나 괴멸하려고 여러 시대에 걸쳐 여러 민족에 의해서 실천되었던 시도입니다.
동종주술을 동종요법에 응용되는 것은 동종요법에 사용하는 약이 치료하려는 병과 거의 같은 증세를 일으키므로 치료약이 증세를 일으키다가 쉽게 사라지면 그가 앓고 있는 병이 쉽게 낫는다는 것입니다.

프레이져는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동종주술이나 모방주술은 모방에 의해서 주술을 실행함으로써 흉조를 없애려고 종종 이용된다. 그것은 가짜의 재난을 진짜 재난으로 대치시켜서 운명을 회피하는 것이다. 마다가스카르에서는 운명을 기만하는 방법이 보통 조직화되어 있다. 이곳에서 사람의 운세는 출생한 날이나 시각에 의해서 결정되고, 만일 그것이 연기(緣起)가 나쁜 때에 해당되면 대치 방법에 의해서, 그들의 말에 다르면 악운을 뽑아내지 않는 한 사방이 막힌다는 것이다. 그 악운을 뽑아내는 방법은 여러 가지다. 예를 들면, 만일 남자가 2월의 첫날에 태어나면 그가 자란 후에 그 집은 불이 난다. 그리하여 때의 기선을 제압하여 그 재난을 피하기 위해서 아들의 친구들은 밭이나 목장에 초옥을 지어 놓고 거기에 불을 지펴서 태운다. 이 의식에 좀더 효과를 내려고 하려면 아이와 어머니를 초옥에 두었다가 위험이 절박하기 전에 불타는 초옥에서 타나 남은 나무와 함께 두 사람을 끄집어 내는 것이다.

위의 예에서와 같이 구체적인 면에서는 약간 다르지만 기본적인 원리가 같은 내용의 주술은 서양에 널리 퍼져 있습니다.
또한 감염 주술에 대해서는 앞의 적의 상을 찌르는 것은 동종 주술이지만 그것이 만약 바뀌어서 적의 발자국을 찌른다면 감염주술입니다.
이 두가지 주술이 얼마나 깊이 서양사람들의 생활에 깊숙히 관여하는지는 삶을 잠시만 둘러 보아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사실 주술이 올바른 판단에 근거하지 않지만 한가지 짚고 넘어가야 하는 것은 프레이져의 말대로 그 순수한 형태를 취하고 나타나는 어느 곳에서나 그 주술은 하나의 현상이 어떤 영적 혹은 인격적인 작동자의 간섭 없이 자연 속에서 필연적이고 불가피하게 다른 현상을 수반한다는 것을 가정합니다. 이게 이상할지 모르지만 사실 근대 과학의 기초 개념과 일치하는 것이고 전체 조직의 기조는 자연계의 질서와 통일에 대한 맹신이지만 참되고 확고한 신앙이라고 했습니다. 주술과 과학이 다른 것은 신념이 아니라 구체적인 실천 방법들이겠죠. 과학은 방법적인 엄밀성을 가지고 비과학적인 것을 제거해 나갔으나 주술은 비과학적이죠. 다만 제가 이 글을 인용한 이유는 과학이 발전하기 전에는 이런 생각도 할 수는 있겠다라는 생각이 들어서입니다.

주술의 치명적인 결함이 객관화될 수 없는 특수한 상황을 지나치게 객관화시켰다는 것이긴 합니다. 즉 유사의 법칙이 맞는 것도 있고 틀리는 것도 있다라고 하는 것이 아니라 다 맞다고 가정함으로써 그들은 오류를 범하게 되는 것입니다. 특수한 상황에서는 어떤 유사법칙이 우연히 맞는 경우도 있겠죠. 그런 경우는 주술이 아니라 과학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입니다. 사실 알러지를 치료하기 위해서 탈감작시키는 과정은 동종요법과 유사한 면이 있습니다. 그러나 동종요법과는 다르고 그것은 과학에 포함되었습니다.

Provings

하네만은 약초나 광물 혹은 다른 물질을 건강한 사람에게 투여하고 이것에서 나타나는 증세를 아주 자세하게 기록한 다음에 이것을 materia medica라는 참고문헌으로 정리하였습니다. 이것을 이용해서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면 치료를 하는 것입니다.

하네만은 사람은 원래 병에 대한 치유력이 있기 때문에 약간의 자극만으로도 병을 고칠수 있다고 주장했으며, 그는 만성적인 질환이 일종의 evil sprit 인 psora가 나타나는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처음에는 소량의 약을 사용했지만 나중에는 이것을 계속 희석하여 희석을 할수록 더 효과가 크다는 극소량의 법칙을 만들어내게 되었습니다. 물론 이것은 투여량과 반응에 대한 관계에 대한 현대의 입장과는 반대입니다.

사실 하네만은 vitalism(생기론-생명현상은 물질의 기능 이상의 생명 원리에 의한다는 설)을 믿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 생기론이 최근에 뉴에이지나 전일론적 관념들과 맞아 들어가기 때문에 요즘에 더 널리 동종요법이 퍼지는 지도 모릅니다.

미국 "식품, 의약품, 화장품 법"(The United States Food, Drug, and Cosmetic Act)는 "Homeopathic Pharmacopoeia of the United States(미국 동종요법 약전)"을 인정하고 있지만 이것은 과학적인 근거를 가지고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정치적인 것입니다. FDA는 동종요법의 약들에게 효과시험에 대해서 기존의 약품과 같은 정도의 요구를 하지 않고 있습니다. Homeopathic Pharmacopeia(동종요법 약전)에는 현대 과학적인 testing방법이 아니라 proving을 통해 1800년대와 19년대 초에 실행해 왔으며 현재의 9판에 이르러서는 동종요법에 사용되는 천 가지도 넘는 물질들이 기술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어떤 물질이 어떤 병이나 증세에 사용해야 되는지가 밝혀져 있지 않습니다. 이것은 사용자(혹은 제조자)가 정해야 합니다. 동종요법 약전은 법적으로는 "약"으로 간주됩니다. 하지만 이것은 다시 말하지만 법도 아니고 FDA가 효력을 인정한 것도 아닙니다.

동종요법적인 치료가 19세기 정통적인 치료보다는 덜 해롭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20세기 초에는 약 14000명이 사용하고 22개의 대학이 미국에 있었으나 의학이 발전하고 의학교육이 발전함에 따라서 급속하게 사라져 가거나 현대의학으로 바뀌었습니다. 동종요법을 가르치는 학교는 1920년대에 모두 사라졌습니다.

많은 동종요법사는 어떤 사람들은 그들에게 특별히 맞는 치료가 따로 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런 "체질 (constitutional type)"에 Ignatia Type은 신경질적이고 눈물을 자주 흘리고 담배 냄새를 싫어하고 "Pulsatilla 는 젊은 여자이고 blond 혹은 밝은 갈색의 머리를 하고 있으며 파란 눈을 하고 있고 성격은 온화하고 걱정을 많이 하기도 하고, 낭만적이고, 감정적이고, 친절하지만 부끄러움을 많이 탑니다. Nux Vomica Type은 공격적이고 매부리코이고 의욕적이고 Sulfide Type은 독립적이다. 이런 등등인데 이것이 과연 진단과 치료에 의거한 분류라고 생각이 들지는 않을 겁니다.

Directory of the National Center for Homeopathy에 등록된 동종요법사는 300명 정도인데 이들 중의 절반은 내과의이고 나머지는 자연요법의, 카이로프랙틱, 침술사, 치과의사, 수의사, 간호원, 의사 보조원등입니다.

치료는 위약효과이다.

동종요법의 약들은 광물이나 식물성 물질이나 기타 다른 여러 가지 것으로 만들어진다. 만약에 약들이 물에 녹는다면 이것을 증류수나 알콜에 녹여서 10배 혹은 100배씩 연속해서 희석해 나간다. 만약에 물에 녹지 않는다면 잘 갈아서 분말 lactose (유당)으로 희석해서 사용한다. 이들이 희석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X라는 것은 1/10 희석이라는 것이고 C는 1/100이라는 의미인데 3X 는 1/1000, 5X는 1/100000이고 2C는 1/10000이 되는 것입니다. 일반적인 희석은 대부분이 6X에서 30X이지만 어떤 약은 30C혹은 이상이 되는 것이 판매되기도 합니다.

약간만 계산하면 알 수 있는 것은 포함된 성분이 1몰이 않되기 때문에 분자들이 24X(아보가드로 수가 6.023 x 10^23)이상이면 거의 원래 성분이 하나도 남지 않게 됩니다. 설사 훨씬 더 많이 포함되어 있다고 해도 여기서 몇 번 더 희석하면 전혀 성분이 남아있지 않게 됩니다. 30C를 희석하고 한 개라도 성분이 남아있으려면 지구 크기의 300억배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Oscillococcinum

200C 제품인 "감기 혹은 독감 유사 증세를 덜어주는" 이 제품은 이들 성분은 바로 죽인 오리의 간과 심장의 작은 양을 40일간 incubation하여 만들게 되는데 여기서 얻어지는 용액을 필터하고 동결건조한 다음에 다시 물에 녹인다음에 연속해서 희석하고 설탕 입자에 스며들게하여 만들게 됩니다. 200C라고하면 10^400배 희석하게 됩니다. 이 값이 얼마나 하면 우주의 모든 분자의 숫자가 겨우 10^100 밖에 않됩니다. US News & World Report 1997년 2월 17일 판에서에서 이제품을 만드는데 일년에 오리 한 마리만 있으면 된다고 했습니다. 이것은 전년도에 2000만불의 판매를 했기 때문에 2000만불의 오리라고 이름붙였습니다.

앞에서 말씀드렸듯이 아보가드로수에 의식한다면 12C혹은 24X이상에서는 사실상 원래의 분자가 하나도 들어있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하네만도 알았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는 섞을 때 매우 흔들어주는 과정속에서 어떤 기운이 그대로 남는다고 생각했습니다. (이것이 제가 앞서 말했던 감염주술입니다.) 이것은 물론 증거도 없거니와 설사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그동안 물이 접촉했던 수 많은 분자들 중에서 어떻게 이것만이 기억되는지 설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감염 주술은 신념일 뿐이죠. 그리고 감염주술 자체도 서양에서는 끊이지 않고 계속 전통이 내려오고 있음을 알아야 합니다.)

많은 동종요법사는 이것이 소량으로 자극해서 면역계를 반응시키는 백신과도 매우 비슷하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이런 비교는 잘못된 것입니다. 백신에서 주요 성분의 양은 측정될 수 있는 양보다 훨씬 많이 들어있으며 특히 면역은 항체를 만들어 내지만 동종요법의 극도로 희석된 약은 어떤 측정 가능한 반응을 보이지도 않습니다.

또한 제조하는 공간에는 수많은 물질들이 있습니다. 또한 희석하는 과정 중에서 어떻게 필요한 성분만을 골라내서 기억시킬 수 있는지 혹은 동종요법에 필요한 약을 알아내는 과정인 proving과정에서 과연 어떤 성분이 효과가 있는지는 각 희석 과정마다 다 확인을 해가면서 실험을 하기 전까지는 인정할 수 없는 것들입니다.

Unimpressive "Research"

대부분의 약들이 효과가 있다는 증거는 없는 실정입니다.

1984년 Scofield는 동종요법에 관련된 실험적 연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무수히 많은 실험과 임상연구에도 불구하고 동종요법이 효과가 있다는 증거는 약간밖에 없다. 이것은 실험디자인, 실험의 수행, 자료의 수집, 분석과정에서의 오류와 특히 가능성을 보이는 실험을 반복하여 추시하지 못한 때문이며 실험의 규모상 문제에 기인하는 것은 아니다. 그 중에는 잘 디자인된, 통제된 실험도 있다."라고 주장했습니다. 이말은 동종요법은 효과는 있는데 아직 증거가 불충분하다고 하는 말입니다. 하지만 Scofield는 과학의 기본 방법론을 무시했습니다. 즉 동종요법이 효과가 있음을 증명해야지 동종요법이 효과가 없다는 증거가 부족하다고 말해서는
안되는 것입니다.

1990년 Review of Epidemiology의 논문은 40개의 임상실험을 위약효과나 혹은 아무 치료도 하지 않은 것과도 비교해서 결론을 내리기는 40개중에서 3개를 제외하고는 실험상의 문제가 있었음을 지적했으며
그 중 3개의 실험 중에서도 1개만 효과가 조금 있는 것으로 나왔습니다. 논문에서는 동종요법이 위약이나 아무 것도 처리하지 않은 것보다 나은 것이 하나도 없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1991년에는 Brit Med J.에서 Kleijnen은 96편의 논문에서 나타난 107건의 통제된 동종요법 실험을 분석하여 "임상 시험의 증거로 보아 동종요법의 효과는 긍정적인 면이 있지만 낮은 수준의 평가방법과 논문발표의 편향적 성향 때문에 확정적 결론을 내리는 것은 불가능하다. 좀더 평가해야할 합법적인 사례가 하나 있지만 이 경우도 좀더 잘 시험을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라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1994년 Pediatrics에서는 동종요법이 니카라구아의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해서 설사에게 약간 효과가 있다는 논문이 있었습니다. 이 주장은 어떤 특정한 날 치료를 한 그룹이 위약그룹에 비해서 설사가 줄었다는 것에 대한 발견에 대한 내용이었습니다. 그러나 Samson과 London은 이 주장이 (1) 진단과 치료계획에 사용된 방법이 믿을 만하거나 증명된 방법이 아님 (2) Product adulteration에 대해서 안전장치가 없다. (3) 치료방법이 작위적이고 (4) 자료들이 이상하게 그룹지어졌고 자료도 일관성이 없으며 (5) 결과의 임상적인 중요성이 의심되고 (6) 결과가 공중보건에는 중요성이 거의 없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mild childhood diarrhea는 적절하게 수분만 보충해주나 탈수 현상이 일어나지 않게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1995년 Prescrire International 은 리뷰 논문에서 "지금까지의 많은 수의 비교 임상시험에도 불구하고 동종요법은 위약효과에 비해서 효과는 없다."라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1996년 12월에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에 의해 소집된 Homoeopathic Medicine Research Group (HMRG)은 긴 보고서를 제출했습니다. HMRG는 동종요법 내과연구원(역주: 동종요법을 하는 내과의가 미국에는 150명이 있습니다.), 임상시험 연구원, Clinical Pharmacology, biostatistics, 그리고 Clinical epidemilogy(전염병학)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들의 목적은 논문으로 발표되거나 발표되지 보고서를 확인하여 동종요법의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들은 184개의 보고서를 살펴본 후 (1) 이중 오직 17개만이 제대로 디자인되었으며 고려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2) 이들 17개중의 실험중에 일부는 위약효과보다 좀 나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3) 그러나 17개의 실험에 참여한 사람들의 수가 적기 때문에 이들 중에서 어떤 특정한 상황에 어떤 약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 효과가 있다고 판단내리기는 어렵다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다시 말해서 동종요법 연구는 가치가 없고 어떤 동종요법 치료도 특정한 병에 대해서 효과가 있다는 것이 증명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National Council Against Health Fraud는 "동종요법의 파벌주의는 동종요법이 연구자의 진실성에 대해서 심각한 의문을 제기한다"라고 하였습니다.

1997년 London Health authority는 동종요법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증거가 부족하다는 결론에 따라서 동종요법 치료에 대한 지원을 중단하기로 했습니다. 길게 이야기할 것도 없이 동종요법사들이 주장하는 실험들을 확인해 본 결과 대부분 결함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Royal Homoepathic Hospital 의 최근 연구도 효과가 있다는 증거가 없기 때문입니다.

동종요법 지지자들은 아주 적은 긍정적인 연구를 동종요법이 효과가 있다는 증거라고 주장합니다. 설사 이런 결과들이 반복적으로 나온다고 하더라고 (그럴 것 같지 않지만) 이것은 한가지 병에 대해서 한가지 약이 효과가 있다는 것이지 동종요법의 기초가 되는 이론들이 옳다는 근거는 아닙니다.

위약효과는 매우 강력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위약효과는 항상 생각해야 할 것은 효과없는 위약에 의존하기 때문에 경제적 손실을 입는 것 등에 대해서 같이 평가를 해야 합니다. 많은 병들이 점차적으로 나아지는 것도 동종요법이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게 되는 믿는 사람은 약을 처리하지 않아도 분명히 병이 나을겁니다.

불법적인 마켓팅

미국의 가장 뻔뻔한 동종요법 제조사는 아마도 Biological Homeopathic Industries (BHI)일 것입니다. 이 회사는 1983년에 123페이지의 카다로그를 20만의 전국적인 내과의사들에게 보냈는데 이 제품 중에는 BHI Anticancer Stimulating, BHI Antivirus, BHI Stroke 등을 포함한 50종류의 심한 질병에 대한 효과가 있다는 약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1984년에 FDA는 BHI에 이러한 주장을 몇 가지 제품을 제공하지 말 것과 주장의 정도를 완화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하지만 그들은 불법적인 주장을 계속해왔습니다. 1991년 Physician Reference에서는 Heart failure, syphilis(매독), kidney failure, blurred vision이나 기타 심각한 질병에 동종요법제품의 적절하지 못한 내용을 권장했습니다. 이 회사가 제공하는 Biological Theraphy, Journal of Natural Medicine등은 주기적으로 믿기 어려운 주장을 싣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1992년 4월 호는 BHI와 Heel product(BHI에서 제공받는 것을 판매)이 50가지 이상의 병(암, angina pectoris, 전신마비) 에 효과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1993년 10월 호는 어린이들에게 사용하는 동종요법에 대해서 만들어 졌는데 여기에는 귀나 편도선의 급성 세균감염에 제품이 효과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 주장은 Biological Therapy의 medical editor인 동종요법사가 여러 도시에서 개최한 Heel seminar에서 중요한 내용으로 선택했습니다. 그 뒤에서도 1993년에는 Heel은 500페이지가 넘고 450종류 이상의 병을 치료한다는 주장을 실을 하드커버 책을 내놓았고 여기서 12페이지는 암에 대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또한 1998년 네바다의 라스베가스에서 열린 정골요법 회의에서 추가정보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이 책을 나누어 주었습니다.

좀더 강한 규제가 필요하다.

앞서 지적했듯이 미국 "식품, 의약품, 화장품 법"(The United States Food, Drug, and Cosmetic Act)는 "Homeopathic Pharmacopoeia of the United States(미국 동종요법 약전)"을 인정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뉴욕의 상원의원이었던 Royal Copeland의 노력덕분인데 이 사람은 그 당시 가장 뛰어난 동종요법 내과의사였습니다. 1938년에 법이 만들어 질 때 일차적인 관심사가 안정성에 대한 것이었기 때문에 극도로 희석하여 사용하는 동종요법 치료제들은 이 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었습니다. 또한 라벨링이나 약의 성분에 대한 표시도 동종요법은 만족시킬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1962년 수정 법안은 약이
팔리기 전에 그 약이 효과가 있음을 증명해야 한다고 했는데 이때에 동종요법에 대해서 문제가 제기될 수도 있었으나 FDA는 동종요법약을 일반적인 병에 대해서는 OTC를 허락해 주고 심각한 병에 대해서는 처방하는 것을 허가해 주었습니다.

만약에 FDA가 다른 약에 대해서 가하는 기준을 동종요법에 적용하기만 하여도 동종요법은은 아마 미국에서 없어질 것입니다. 하지만 미국의 FDA당국은 그럴 것 같지 않습니다. 그들은 이 치료가 상대적으로 온화하고 (특히 항암제와 AIDS치료제에 비하면) 다른 중요한 일이 더 많기 때문에 이것을 다루지 않을 것입니다. 또한 FDA가 이들을 공격하더라도 로비에 약한 미국 국회에 압력을 가해서 살아나려고 할 것입니다. 어쨋던 간에 FDA는 효과가 없는 약이 효과가 있는 것처럼 팔리는 것을 허가해서는
안됩니다. 또한 말도 안되는 electrodiagnostic(예를들어 파동의학 장치들이죠) 장치들도 더 이상 관용을 베풀어서는
안됩니다.

1994년 사이비 과학과 돌팔이들에 대한 42개의 유명한 비평의 글은 동종요법 제품의 판매를 막아달라는 것이었습니다. 약국에서 아무런 의사의 처방없이 판매되는(OTC) 동종요법 약도 일반 의약품과 같이 취급하라는 법을 만들도록 FDA에 탄원했습니다. FDA는 아직 이것에 대하여 반응이 없지만 1998년 3월 3일 전직 FDA의 Commissioner인 David A. Kessler는 동종요법이 효과가 없다는 것은 알지만 그것을 금지하려는 시도는 하지 않고 있다고 했습니다. 왜냐하면 국회가 반대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출처 : '동종요법(homeopathy)의 허구' - 네이버 지식iN)